목차
소개 및 의미
기본 재료 속성
구조 및 열적 거동
에폭시 수지는 비정질 폴리머 재료이며 일반적으로 경화 후 결정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결정성 경화 후. 에폭시 함유 가교 구조로 인해 열경화성 특성을 가지며, 이는 실제 융점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대신 유리 전이 온도(Tg) 에 도달하면 고체에서 고무 상태로 변합니다. 이러한 전이는 적용 분야의 기계적 및 열적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열 안정성 열 안정성 은 가교 밀도와 화학 성분²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잘 배합된 레진 시스템은 120°C에서 195°C 사이의 Tg 값을 달성하며, 고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특수 유형은 최대 210°C까지 도달합니다. 유리 전이 온도 이상 유리 전이 온도 이상에서는 기계적 특성이 크게 떨어지기 시작하므로 Tg는 애플리케이션 선택에 있어 중요한 파라미터입니다.
가교 밀도는 열적 특성뿐만 아니라 경화된 재료의 기계적 성능도 결정합니다. 가교 밀도가 높을수록 재료는 더 단단하지만 부서지기 쉽고, 가교 밀도가 낮을수록 유연하지만 온도 저항성이 떨어집니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통해 재료 과학자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요구 사항에 맞게 특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경화 행동 및 동역학
에폭시 수지의 경화 과정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잡한 화학 공정입니다. 경화는 열에 의한 경화와 특수 배합의 경우 자외선에 의한 경화가 모두 가능합니다. 온도, 경화제 농도, 촉매 및 자외선의 강도에 따라 가교 반응의 속도와 완성도가 결정됩니다. 실온에서는 몇 시간에서 며칠의 경화 시간이 필요할 수 있지만, 온도를 높이거나 자외선에 노출하면 경화 속도가 상당히 빨라질 수 있습니다.
경화 동역학은 일반적으로 반응 속도가 먼저 증가한 다음 다시 감소하는 자동 촉매 과정을 따릅니다. 겔화 단계에서 액체 수지는 고체 열경화성 수지로의 최종 가교가 일어나기 전에 겔과 같은 상태로 변합니다. 이러한 단계를 제어하는 것은 내부 응력을 방지하고 최적의 기계적 특성을 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내화학성 및 내기계성
에폭시 수지는 묽은 산과 알칼리, 염소화 탄화수소, 미네랄 오일 및 물³을 포함한 다양한 공격적인 매체에 대해 뛰어난 내화학성을 발휘합니다. 기계적으로는 나노 입자, 공중합체 및 유연한 첨가제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높은 강도와 인성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내화학성은 특정 제형과 사용되는 매체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에폭시 수지는 많은 유기 용제와 약산에 내성이 있지만, 가성소다나 강력한 산화제와 같은 강염기는 폴리머 매트릭스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가교가 잘 된 온전한 시스템은 거의 방수가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미세한 결함이나 불완전한 경화의 경우 물이 매트릭스에 침투할 수 있습니다. 수지 유형과 가교 정도에 따라 일반적인 값은 1~4%이며, 이는 기계적 특성과 유리 전이 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자외선 저항성입니다. 수정되지 않은 에폭시 수지는 햇빛에 노출되면 노란색으로 변하고 부서지기 쉽지만, 특수 안정제와 첨가제를 사용하면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기계적 특성 상세 정보
에폭시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포함하며 각 제형, 경화제 시스템 및 경화 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높은 탄성률, 높은 탄성 계수가 특징입니다. 탄성 계수 압축 및 접착 강도가 우수하여 구조용 및 탄력성 용도에 이상적입니다.
재료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파단 연신율은 변형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연화 첨가제나 가소제를 첨가하는 등 배합을 구체적으로 조정하면 단단한 구조 구성 요소와 탄성 밀봉 컴파운드를 모두 구현할 수 있습니다.
충격 및 내충격성에 중요한 노치 충격 강도도 엘라스토머 또는 열가소성 개질제를 사용하여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용도성 덕분에 에폭시 수지는 산업 및 연구 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폴리머 소재 중 하나입니다.
에폭시 수지의 주요 유형
비스페놀 A 기반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는 전 세계 에폭시 생산량의 약 75%를 차지하며, 다용도로 조절 가능한 기계적 및 화학적 특성이 특징입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공되며 우수한 접착력, 적당한 유연성, 높은 내열성이 특징입니다. 주요 적용 분야는 라미네이트, 접착제 및 섬유 복합재입니다.
노보락 에폭시 수지
노보락은 페놀과 포름알데히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후 에피클로로히드린 변형에 의해 형성됩니다. 높은 기능성(분자당 2~6개의 에폭시 그룹)으로 인해 가교 밀도가 뚜렷하여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극대화됩니다. 일반적으로 고온 접착제 및 부식 방지 코팅에 사용됩니다.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 수지
사이클로 지방족 등급은 고리형 알켄을 과산과 반응시켜 생산되며 지방족 백본이 특징입니다. 점도가 낮고 내후성이 높으며 유리 전이 온도가 매우 높습니다.
다양성 및 수정 옵션
최신 에폭시 수지의 기본 구조는 일반적으로 비스페놀-A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초기 조합을 변경하여 매우 다양한 수지 변종과 공중합체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⁴. 전통적인 1성분 및 2성분 시스템 외에도 인성 또는 열 안정성과 같은 특정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나노 복합재 및 하이브리드 소재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 분야
복합 시스템
에폭시 수지는 탄소, 유리 및 아라미드 복합재⁵와 같은 섬유 복합재의 매트릭스 재료로 사용됩니다. 섬유와의 이상적인 접착력을 제공하며 다음과 같은 고강도 경량 구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항공우주, 자동차 스포츠 장비를 위한 고강도 경량 구조를 가능하게 합니다.
접착제
에폭시 기반 접착 시스템은 금속, 세라믹 및 복합재 접착을 위한 강력한 접착력, 내화학성 및 치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코팅
에폭시 수지는 밀도, 온도 및 매체 저항성으로 인해 산업용 바닥 코팅, 부식 방지, 단열 코팅 및 식품 실란트에 적합합니다.
전자 제품
에폭시 수지는 인쇄 회로 기판, 코일, 센서, 모터 하우징 등 전기 공학 및 전자 분야에서 필수적인 절연 재료이자 포팅 화합물입니다.
처리 측면 및 과제
가공 시에는 포트 수명(겔화가 시작될 때까지의 가공 시간)이 중요하므로 주어진 시간 내에 가공할 수 있는 만큼의 레진만 준비해야 합니다. 수지와 경화제 간의 화학량 론적 혼합 비율은 최종 강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편차는 끈적한 표면과 열악한 기계적 거동으로 이어집니다. 중요한 안전 측면에는 경화되지 않은 수지를 취급할 때 니트릴 또는 부틸 장갑과 보호 복과 같은 적절한 보호 조치를 준수해야 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프로세스 최적화 및 품질 관리
에폭시 수지를 성공적으로 가공하려면 다양한 공정 파라미터를 정밀하게 제어해야 합니다. 주변 온도는 점도와 경화 속도 모두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온도가 낮으면 불완전한 습윤과 접착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경화 중 열 응력이 발생하여 수명이 크게 단축될 수 있습니다.
습도는 종종 과소평가되는 요소로 아민 경화제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할 수 있습니다. 습기는 표면에 흰색 백태로 나타나는 카바메이트의 형성을 유발하여 추가 가공이나 결합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 분야에서는 상대 습도가 50% 미만인 제어된 주변 조건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에폭시 레진 배합의 탈기는 특히 후막 적용 또는 필러 사용 시 중요한 또 다른 측면입니다. 갇힌 기포는 응력 집중 장치로 작용하여 기계적 특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기포가 없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진공 탈기 시스템 또는 특수 교반 기법이 산업 분야에서 표준으로 사용됩니다.
경화 시스템과 그 속성
적합한 경화 시스템의 선택은 최종 제품의 특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지방족 아민은 상온에서 빠르게 경화되지만 발열이 강하고 노란색으로 변색될 수 있습니다. 지방족 아민은 경화 속도는 느리지만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변색이 덜 발생합니다.
무수물 경화제는 활성화를 위해 높은 온도가 필요하지만 열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열 안정성 와 낮은 수축률을 제공합니다. 특히 높은 유리 전이 온도 및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적합합니다. 폴리아미드 경화제는 시스템에 유연성과 충격 강도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내화학성과 온도 안정성을 떨어뜨립니다.
향후 전망
에폭시 수지는 전통적으로 석유를 주원료로 생산되기 때문에 현재 연구는 독성이 낮고 환경 친화성이 개선된 바이오 기반 수지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동시에 새로운 나노 복합체와 하이브리드 소재를 통해 특정 용도에 맞게 소재 특성을 더욱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
지속 가능한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개발에는 몇 가지 유망한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식물성 오일, 리그닌 또는 테르펜과 같은 재생 가능한 원료로 만든 바이오 기반 에폭시 수지는 이미 덜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기본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석유화학 원료의 최대 50%까지 대체할 수 있습니다.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재활용 분야에서도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용해 또는 열분해와 같은 공정을 이용한 화학적 재활용은 원칙적으로 귀중한 유기 성분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집중적인 연구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열처리 과정에서 분해되거나 완전 연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회수 정도, 특히 탄소 함유(C-C) 구조의 경우 비판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생태학적 균형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동적 가교가 가능한 새로운 종류의 에폭시 기반 폴리머인 비트리머는 특히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이 제품은 가역적 결합이 가능하므로 재료 특성은 거의 변하지 않으면서도 진정한 재활용성 또는 수리성을 제공합니다.
기술 혁신
에폭시 수지 배합에 스마트 소재를 통합하면 완전히 새로운 응용 분야가 열립니다. 캡슐화된 치유제가 포함된 자가 치유 에폭시 수지는 미세 균열을 자동으로 복구하고 구조 부품의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습니다. 형상 기억 에폭시는 온도나 전기장과 같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한 형상 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머신러닝과 인공 지능을 통한 소재 개발의 디지털화는 맞춤형 포뮬러 개발을 크게 가속화합니다. 예측 모델링을 통해 분자 구조와 조성을 기반으로 재료 특성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신소재의 구상부터 시장 출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
출처 목록
¹ Auth, T., Böckler, M., Fendler, D., Hennig, M.: “전기 공학에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 활동 중 하이드로프탈릭 무수물에 대한 노출.” 유해 물질 – 대기 오염 관리 70 (2010) 1/2.
URL:https://www.dguv.de/medien/ifa/de/pub/grl/pdf/2010_004.pdf
² Utaloff, K.: “에폭시 수지의 재료 특성 및 열 안정성.” 논문,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2017.
URL:https://archiv.ub.uni-heidelberg.de/volltextserver/23420/1/Katja%20Utaloff%20Dissertation.pdf
ResinPro: “에폭시 수지를 날씨로부터 보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FAQ 섹션.
URL:https://resinpro.de/faq/wie-kann-ich-das-epoxidharz-vor-witterungseinfl-ssen-sch-tzen/
⁴ RCT 매거진: “에폭시 수지: 생산 및 사용” 2025.
URL:https://www.rct-online.de/magazin/epoxidharz-herstellung-verwendung-einsatzbereiche/
“자동화된 배치 공정에서 탄소섬유 강화 극저온 수소 저장 탱크 생산을 위한 개질 에폭시 수지 배합.” 논문, 바이로이트 대학교, 2024.
URL:https://epub.uni-bayreuth.de/7699/1/01_20240322_Dissertation_Hu%CC%88bner_druck_comp.pdf